
협상 타결, 미국 주식시장은 어떻게 반응할까
2025년 하반기 미국 증시를 흔들었던 무역 변수 중 하나가 한미 관세 협상이었습니다. 시장은 최악을 피했다는 안도와 동시에 업종별로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철강·기술주로 나눠 실제 주가 반응과 앞으로의 투자 포인트를 짚어보겠습니다.
상호관세율이 최대 25%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컸지만 최종 합의는 15% 인하로 마무리되면서 시장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피했다. 다만 자동차·철강·알루미늄 등 주요 산업군에서는 한국 기업에 새로운 부담이 생겼고, 반대로 미국 기업들은 단기 수혜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큰 틀의 협상 타결은 끝났지만 세부 실행은 진행 중”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면, 투자자에겐 단순 호재·악재 구분이 아니라 업종별 기회와 리스크를 분리해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1. 자동차 산업: 한국차 부담 vs 미국 빅3의 반사이익
한국산 자동차는 기존 FTA 무관세 혜택을 잃고 앞으로 15% 관세가 부과된다.
이는 현대차·기아 등 한국 기업의 가격 경쟁력에 큰 타격이며, 증권가에서는 연간 5조~7조 원 규모의 영업이익 감소 가능성을 전망했다. 반면 미국 완성차 빅3(GM, Ford, Stellantis)는
상대적으로 가격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발표 직후 한국 자동차주는 약세를 보였고, 미국 자동차주와 관련 ETF(CARZ, DRIV)는 단기 방어세를 나타냈다.
한국산 자동차 | 0% (FTA) | 15% | 영업이익 -5~7조 원, 경쟁력 약화 |
미국 빅3 | — | — | 가격 경쟁력 강화, 점유율 확대 |
자동차 ETF | — | — | 단기 반등 모멘텀 |
즉, 자동차 업종은 단기적으로 미국 기업이 유리하다.
그러나 전기차 전환 경쟁, 원가 부담 확대라는 구조적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 있어 장기적 낙관론은 조심해야 한다.
이번 협상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은 분야는 자동차다. 한국산 차량이 기존 FTA 무관세에서 15% 관세를 적용받게 되면서 현대차·기아 등 한국 기업에는 부담이 커졌다.
그러나 미국 주식시장에서는 상황이 정반대다. 미국 빅3 완성차 기업인 GM(NYSE: GM), Ford(NYSE: F), **Stellantis(NYSE: STLA)**가 직접적인 수혜주로 꼽힌다.
발표 직후 GM과 Ford는 각각 +4%, **+3%**가량 상승했고, Stellantis도 2%대 강세를 보였다.
이는 한국차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면서 미국 로컬 브랜드의 점유율 확대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관련 ETF인 CARZ(글로벌 자동차 ETF), **DRIV(전기차·자율주행 ETF)**에도 단기 수혜가 반영되고 있다.
GM | +4% | 한국차 경쟁 약화 → 점유율 확대 |
Ford | +3% | 미국 내 가격 우위 확보 |
Stellantis | +2% | 유럽·미국 시장 이중 수혜 |
CARZ ETF | +3% | 글로벌 자동차 업종 반등 |
DRIV ETF | +2% | 전기차 테마 수혜 가능 |
다만 장기적으로는 EV 전환 경쟁, 원자재 비용 상승 등 구조적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자동차주는 단기 반등세를 노리되, 장기 투자에서는 신중해야 한다.
2. 철강·원자재: 미국 기업의 점유율 확대와 이중 리스크
철강·알루미늄에는 여전히 최대 50% 고율 관세가 유지된다. 이는 한국 철강사에 부정적이지만, 미국 기업들(US Steel, Nucor 등)에는 점유율 확대 기회다. 수출 경쟁력이 약화된 한국 철강의 빈자리를 미국 기업이 메울 수 있으며, SLX 같은 철강 ETF에도 단기 기대감이 반영될 수 있다.
철강 | 수출 경쟁력 약화, 매출 감소 | 점유율 확대, 실적 개선 가능 | SLX 단기 반등 |
알루미늄 | 동일 | 상대적 가격 경쟁력 확보 | — |
원자재 | 공급 축소 → 가격 상승 압력 | 단기 호재 | 변동성 확대 |
그러나 공급 축소가 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생산자물가지수(PPI)를 자극해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전이될 수 있다. 건설·인프라 수요가 둔화하면 철강주 상승폭도 제한될 수 있다. 즉, 철강·원자재는 단기 기회와 장기 리스크가 동시에 존재한다.
이번 협상에서
한국 철강은 여전히 최대 50% 고율 관세를 부담하게 되면서 경쟁력이 약화됐다.
반면 미국 철강주는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크다. 특히 US Steel(X), Nucor(NUE) 같은 기업은 미국 내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최근 한 달 동안 US Steel은 +10%, Nucor는 +6% 상승하며 기대감을 선반영하는 흐름을 보였다. 관련 ETF인 SLX(철강 ETF) 역시 단기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US Steel (X) | +10% | 한국 경쟁력 약화 → 점유율 확대 |
Nucor (NUE) | +6% | 내수 기반 성장 + 관세 반사이익 |
SLX (철강 ETF) | +8% | 섹터 단기 모멘텀 반영 |
다만 원자재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으로 전이되면 건설·인프라 수요 둔화로 철강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철강주는 단기 트레이딩 기회로 접근하는 것이 적절하며, 장기 투자보다는 변동성 관리가 중요하다.
3. 기술주·ETF: 무역 리스크 완화의 심리적 안정
이번 협상은 자동차·철강에 집중되었지만, 미국 증시 전체에 무역 불확실성 완화라는 긍정적 신호를 남겼다. 기술주와 성장주는 직접 타격이 적지만, 리스크 감소로 투자심리가 개선된다. 나스닥 ETF(QQQ), 반도체 ETF(SMH, SOXX)는 2025년 7월 기준 각각 +15%, +18% YTD 수익률을 기록 중이며, 이번 합의가 추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
테슬라(TSLA)는 한국 배터리 공급망에 일정 부분 의존하고 있어 간접적으로 관세 영향권에 있지만, 글로벌 전기차 수요 확대가 장기 성장성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기술주는 “직접 수혜”보다 심리적 안정감에서 가치가 부각된다.
QQQ | +15% | 무역 리스크 완화 → 성장주 자금 유입 |
SOXX | +18% | 반도체 투자심리 개선 |
GM/Ford | +5~7% (협상 직후) | 한국차 약세에 따른 반사이익 |
US Steel | +10% (1개월) | 점유율 확대 기대 |
관세 협상은 직접적으로 기술주에 영향을 주진 않지만, 무역 리스크 완화라는 심리적 효과로 투자자 신뢰를 높인다.
미국 주식시장에서 대표적인 기술주 중심 ETF인 QQQ(나스닥100), **SOXX(반도체 ETF)**는 2025년 7월 기준 각각 +15%, +18% YTD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번 협상이 추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엔비디아(NVDA), AMD, 마이크론(MU) 같은 반도체 대형주는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완화에 따른 안정적 수혜가 기대된다. **테슬라(TSLA)**는 한국 배터리 의존도가 일부 있어 간접적으로 관세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글로벌 전기차 수요 증가 덕분에 장기 성장성은 견조하다.
QQQ | +15% | 성장주 전반 심리 개선 |
SOXX | +18% | 반도체 섹터 투자심리 강화 |
NVDA | +25% | 무역 불확실성 완화로 밸류 안정 |
TSLA | +12% | 공급망 변수 있으나 EV 수요 견조 |
즉, 기술주는 관세 협상의 직접 수혜자는 아니지만, 투자자 심리 측면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섹터다. 장기 포트폴리오 핵심 축으로 유지하는 전략이 유효하다.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구분 핵심 전략 유의할 점
단기 | GM, Ford, US Steel 등 전통 제조업 수혜주 트레이딩 | 빠른 익절 원칙 |
중기 | SLX(철강 ETF) 등 반등 활용 | 인플레 전이 리스크 |
장기 | QQQ, SOXX 중심 기술주 ETF 비중 확대 | 심리 안정 효과 지속 |
이번 협상은 “큰 틀에서 타결됐지만 세부 실행은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단순 호재·악재 프레임으론 해석하기 어렵다. 그러나 투자자가 취할 수 있는 전략은 명확하다.
- 단기 전략: GM, Ford, US Steel 같은 전통 제조업 수혜주를 활용해 트레이딩 기회를 노린다. 빠른 매매·익절 원칙이 필수다.
- 중기 전략: 철강·원자재 섹터는 SLX 등 ETF를 통한 단기 반등 가능성은 있으나, 공급망 충격과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고려해 철저한 손절·익절 규율을 세워야 한다.
- 장기 전략: 기술주와 성장주 ETF(QQQ, SOXX, SMH)는 무역 불확실성 완화로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여전히 포트폴리오 핵심축으로 유지할 가치가 있다. 테슬라와 같은 종목은 글로벌 EV 수요를 기반으로 장기 성장성에 집중하는 편이 유리하다.
📌 정리하면, 이번 협상은 단기 기회는 전통 제조업에서, 장기 안정은 기술주·ETF에서 찾아야 한다. 투자자는 “단기와 장기를 구분하는 전략”을 통해 변동성 속에서도 균형 있는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야 한다.
📌 References
한미 관세협상 타결 선반영한 증시...상승 동력 제한적
한국 경제의 걸림돌로 작용해왔던 미국 상호관세가 기존 25%에서 15% 낮아졌다. 대통령실은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을 전하며 8월 1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췄
news.bizwatch.co.kr
#📌 References
- Republic of Korea Policy Briefing – Announcement on Korea-US Trade Negotiation
- Korea Economic Daily – Coverage on Tariff Agreement
- Ferrotimes – Steel Tariff Related News
- Bizwatch – Market Reaction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