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7월 17일 미국 주식 실적 총정리 – 펩시코·TSMC·넷플릭스 주가에 무슨 일이?

by 김다히 2025. 7. 19.

 

 

 

2025년 7월 17일, 뉴욕 증시는 다시 한 번 실적에 반응했습니다.
펩시코, TSMC, 넷플릭스 등 핵심 기업들의 실적이 공개되면서
기대감을 웃돈 종목은 크게 오르고, 반면 실망감을 준 종목은 바로 조정에 들어갔죠.

이번 실적은 단순한 숫자 게임이 아니라,
향후 투자 전략을 어떻게 짜야 할지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있어요.

2025년 7월 17일을 기준으로 미국 증시에서는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실적발표가 쏟아졌습니다. 그 중에서도 넷플릭스, TSMC(대만반도체제조회사), 펩시코는 각기 다른 산업군을 대표하면서 시장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들 세 기업의 실적 요약과 그에 따른 주가 변동, 향후 전망을 중심으로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를 정리합니다.

 

 

📌 1. 펩시코 (PepsiCo) – ‘물가 잡히면 소비주 산다’

  • 실적 요약: EPS 및 매출 모두 예상치 상회
  • 주가 반응: 장중 +7.5% 급등
  • 포인트: “물가가 진정되면, 다시 소비재다”
  • 추가 인사이트: 장기 금리 상승기에도 방어력이 강한 ‘배당+소비’ 종목
    👉 ETF 관점: VDC(미국 소비재 ETF)에 펩시, 코카콜라 등 포함

📌 2. TSMC – AI 반도체는 실적으로 증명한다

  • 실적: 분기 최대 매출, 영업이익률 견조
  • 가이던스: 연간 매출 성장률 +30% 상향
  • 주가 반응: +3.4% 상승
  • 포인트: 반도체 사이클 우려 속에서도 ‘AI 수혜’는 유효
    👉 ETF 관점: SOXX, SMH, AIQ 등 AI 반도체 관련 ETF 흐름 확인 필요
    👉 중장기 포인트: 엔비디아, AMD, 애플 등 주요 고객사의 수요 유지 여부 중요

📌 3. 유나이티드항공 – 여행주의 조용한 반격

  • 실적 요약: 예상 상회, 단거리·국제선 수요 회복
  • 주가 반응: +3% 상승
  • 포인트: 고유가·항공권 상승에도 여름 성수기 효과 기대
    👉 항공 관련 ETF나 대형 항공사들에 대한 재조명 가능성

📌 4. 넷플릭스 – 숫자는 OK, 하지만 ‘성장성’은?

  • 실적: EPS/매출 모두 서프라이즈
  • BUT: 운영 마진 가이던스 하락
  • 주가 반응: 장중 +0.4% → 장 마감 후 하락 전환
  • 포인트: 가입자 증가율 둔화 우려, 콘텐츠 투자 부담
    👉 단기 변동성 커질 수 있으나, 중장기 구독 모델 강화 여부 주시

🧭 시장 분위기 요약

  • 소매 판매 지표: 전월 대비 +0.6% 상승 (예상치 상회)
  • 실업수당 청구건수: 감소
  • 나스닥/S&P500: 모두 사상 최고치 경신
  • 금리 인하 기대: 9월 인하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연내 한 차례 전망 유지

넷플릭스 실적 요약 – 가입자 증가와 콘텐츠 투자 확대

넷플릭스는 2025년 2분기 실적에서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유료 구독자 수가 시장 기대를 상회하며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광고 기반 요금제의 성과도 두드러졌습니다.
이번 분기 넷플릭스는 850만 명의 신규 유료 가입자를 확보했으며, 이는 내부 전망치보다 약 20% 높은 수치입니다. 특히 중남미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였고, 한국과 일본 등 비영어권 콘텐츠가 글로벌 인기를 얻으며 전반적인 구독자 증가에 기여했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108억 달러를 기록했고, 영업이익률은 23.5%로 상승했습니다. 콘텐츠 투자 측면에서는 자체 제작 비중을 줄이고 파트너십 기반 콘텐츠를 강화하며 비용 효율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광고 기반 구독 모델의 경우 월간 이용자 수가 1억 명을 돌파했고, 타겟팅 광고 기술을 고도화해 CPM 단가를 30% 이상 높였습니다. 향후 과제로는 콘텐츠 품질 유지를 위한 제작 기술 고도화, AI 기반 추천 알고리즘 개선이 남아있습니다.

 

 

TSMC 실적 요약 – AI 칩 수요 폭증으로 깜짝 실적

반도체 업계의 중심에 선 TSMC는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총 매출은 211억 달러, 순이익은 78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12%, 9% 증가했으며, 이는 고성능 컴퓨팅(HPC) 및 AI 칩 수요 폭증 덕분입니다. 특히 3나노 및 2나노 공정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생산라인이 100% 가동된 상태입니다.

AI 반도체 관련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41%로 확대되었으며, 주요 고객인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의 주문량이 전년 대비 30~45% 증가했습니다.
TSMC는 미국 애리조나 공장 가동률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일본 구마모토 및 독일 드레스덴 공장도 2025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미중 기술 분쟁과 지정학적 리스크는 여전히 투자자들의 불안 요소입니다. TSMC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 다변화와 IP 보호 기술 강화를 병행 중입니다.
시장에서는 “TSMC는 AI 시대의 정중앙에 위치한 필수 기업”이라는 평가가 확산되고 있으며, 장기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펩시코 실적 요약 – 가격 전략과 글로벌 브랜드 파워로 방어

펩시코는 2025년 2분기 실적에서 경기 둔화 속에서도 안정적인 실적을 발표하며 방어력을 입증했습니다.
총 매출은 228억 달러, 순이익은 28억 달러로 집계되었고, 이는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었습니다.
북미 시장에서의 정체에도 불구하고 중남미, 동남아 등 신흥시장에서의 성장이 이를 상쇄했습니다.

특히, 프리미엄 음료(제로칼로리·단백질 강화 제품)와 건강 간식 라인의 판매 비중이 꾸준히 증가했으며, 이익률이 높은 제품군에 집중하면서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펩시코는 AI 기반 유통 및 재고 관리 시스템 도입을 통해 물류 효율성을 끌어올리고 있으며, 이는 운영비용 절감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다만, 원재료 가격 변동성과 기후 영향은 지속적인 리스크로 남아 있습니다. 펩시코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탄소중립 물류망 확대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충성도와 글로벌 유통망을 고려할 때 펩시코는 장기적인 안정성과 성장성을 모두 갖춘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펩시코 (PepsiCo) – 소비주의 귀환

  • EPS & 매출 모두 서프라이즈
  • 주가 +7.5% 급등
  • 방어주 중심 포트폴리오에 적합
  • ETF 추천: VDC (미국 소비재 ETF)

💻 TSMC – AI 반도체는 살아 있다

  • 사상 최대 분기 이익
  • 연매출 성장 가이던스 +30%
  • 주가 +3.4% 상승
  • ETF 추천: SOXX, SMH, AIQ

✈️ 유나이티드항공 – 여름 여행 수요 재확인

  • 단거리·국제선 모두 호조
  • 주가 +3% 상승
  • 항공·레저 테마 ETF에 관심 증가

🎬 넷플릭스 – 숫자는 좋지만...

  • 실적 서프라이즈
  • 운영마진 하향 → 장 마감 후 주가 하락
  • 단기 조정 시 분할 매수 고려

📊 투자 전략 요약

  • 단기: 실적 호조 기업 중심 스윙
  • 중기: 소비재 + AI 섹터 ETF 분산
  • 장기: 실적 부진 종목 중 재무건전성 높은 기업 저가매수

🧭 마켓 분위기

  • 소매판매 +0.6%
  • 실업수당 청구 감소
  • 나스닥·S&P500 사상 최고치 경신
  • 금리 인하 기대감은 ‘보류’

2025년 7월 실적 발표를 기준으로 보면 넷플릭스, TSMC, 펩시코는 각기 다른 산업군이지만 공통적으로 “디지털 전환, 글로벌 전략, 효율성 중심 경영”을 통해 실적 호조를 이끌었습니다.
세 기업 모두 시장 기대를 상회하거나 부합하는 성적을 보였으며, AI 수요·광고 모델·브랜드 파워가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작용했습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이들 종목은 기술주, 소비주 포트폴리오에 균형 있게 포함할 만한 매력적인 선택지로 보입니다.

 

https://youtube.com/shorts/UL-xE9OmzFc?feature=sha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