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4분기, 모닝스타가 꼽은 저평가 매수 유망주 33선
2025년 3분기 말 현재, 미국 증시는 연초 대비 약 14%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모닝스타에 따르면, 시장 전체는 공정가 대비 약 3% 고평가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상승세가 아니라, 일부 초대형 기술주에 과도하게 집중된 구조적 불균형 때문입니다.
모닝스타는 “시가총액 상위 10개 AI 메가캡 기업이 전체 시장의 약 40%를 차지하며,
이들 대부분이 공정가치에 근접하거나 이미 초과했다”고 지적했습니다.
AI 성장률이 둔화될 경우, 그 충격이 시장 전반으로 확산될 위험이 크다는 의미입니다.
이에 따라 모닝스타는 2025년 10월 발표한 리포트
**「33 Undervalued Stocks to Buy in Q4 2025」**를 통해
현재 공정가 대비 할인된 저평가 종목 33선을 공개했습니다.
이번 리스트는 각 산업별 대표 종목 중 4~5성(undervalued) 평가를 받은 기업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2025년 4분기 시장의 밸류·실적 중심 투자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로 평가됩니다.
📊 섹터별 밸류에이션 지형: ‘과열과 저평가의 경계선’
모닝스타가 분석한 미국 주요 산업의 밸류에이션은 뚜렷하게 양극화되었습니다.
- 저평가 섹터:
에너지, 부동산(REITs), 헬스케어, 일부 소재 산업군은 여전히 공정가 대비 5~10% 저평가 상태입니다.
특히 에너지 업종은 원유 생산 조정(OPEC+)과 CAPEX 축소 영향으로 공급이 제한되며,
실적 회복 기대가 남아 있습니다.
부동산 리츠는 금리 인하 사이클이 시작될 경우, 자산 재평가 + 배당 메리트가 동시에 부각될 가능성이 큽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제약, 의료기기, 바이오테크 전반에서 절반 이상이 4~5성 평가를 받았습니다. - 고평가 섹터:
반대로 AI·반도체 중심의 기술주와 금융서비스 업종은 공정가 대비 10~15% 고평가 구간으로 진입했습니다.
특히 AI 관련 대형주 대부분이 이미 모닝스타 추정 내재가치(Fair Value)를 초과했으며,
금융주는 금리 변동 리스크와 신용경색 이슈로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따라서 단기 모멘텀보다는 실적 안정성과 내재가치 할인 폭을 기준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 대표 저평가 종목 5선: ‘실적과 가치의 교집합’
이번 리포트에서 주목할 만한 주요 종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Microsoft (MSFT)
AI 성장 테마의 중심이지만, 다른 메가캡 대비 여전히 10~15% 할인 거래 중입니다.
클라우드·생산성 소프트웨어의 안정적 수익 덕분에 AI 성장과 방어력을 동시에 갖춘 구조로 평가됩니다. - NXP Semiconductors (NXPI)
차량용 반도체와 IoT 분야 확장세가 두드러집니다.
AI와 오토 전장화를 잇는 핵심 공급사로, CAPEX 대비 현금흐름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 Elevance Health (ELV)
미국 내 의료보험·헬스케어 플랜 시장의 안정적 수익 구조를 보유한 기업입니다.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보험료 인상률과 비용 절감이 균형을 이루며 현금흐름 대비 저평가 구간에 위치합니다. - Baker Hughes (BKR)
에너지 장비·서비스 분야의 대표 기업으로,
석유 시추·생산 부문 회복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모닝스타는 해당 종목을 “글로벌 에너지 인프라 전환기의 수혜주”로 평가했습니다. - Eversource Energy (ES)
전력·유틸리티 부문 대형주로, 배당 안정성과 장기 성장성을 겸비했습니다.
인플레이션 완화 및 금리 인하 전환 시, 배당형 자산군 중 재평가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외에도
Campbell’s, CNH Industrial, Rogers Communications, Gildan Activewear, Devon Energy, Walt Disney, The Kraft Heinz Company 등이
저평가 종목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특히 소비재·통신·소재 산업군은 경기 둔화에도 현금흐름과 배당 기반 가치주 성격으로 평가됩니다.
📈 4분기 투자 전략: ‘과열보다 가치, 기대보다 실적’
모닝스타의 핵심 메시지는 명확합니다.
“시장은 상승세지만, 여유는 없다. (No Margin for Error)”
2025년 4분기 시장은 AI 중심 고평가 구간과 밸류 중심 저평가 구간이 명확히 갈린 상태입니다.
고평가 성장주 중심의 투자보다,
밸류 기반 포트폴리오로의 리밸런싱(Rebalancing) 전략이 유효하다는 평가입니다.
즉,
- 단기 모멘텀보다 실적 가시성과 내재가치 할인폭을 우선 검토하고,
- 금리 인하·경기 둔화 구간에서 배당형·방어형 자산 비중 확대를 고려하며,
- AI·테크 중심 자산군은 포트폴리오 내 비중 조정이 필요한 시기라는 것입니다.
결국 2025년 4분기 투자 키워드는
**“밸류(가치)와 리밸런싱(재구성)”**입니다.
성장주가 주도한 랠리 이후, 시장은 서서히 실적과 현금흐름 중심의 정상화 국면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 References
- Morningstar, “33 Undervalued Stocks to Buy in Q4 2025” (Oct 8, 2025)
- David Sekera, “Q4 2025 Stock Market Outlook: No Margin for Error”, Morningstar
- Morningstar Sector Valuation Data (as of Q3 2025)
🌿 Inspiration | 로마서 8장 26절
“이와 같이 성령도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나니,
우리가 마땅히 빌 바를 알지 못하나
오직 성령이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시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