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하반기 저점 매수 후보 7선 – 지금 담아둘 종목과 ETF
2025년 하반기 미국 증시는 실적 시즌과 금리 완화 기대 속에 단기 조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일부 종목과 ETF는 기업 실적이 견조함에도 주가가 10~20% 조정된 상황입니다. 이러한 시점은 장기 투자자에게 ‘저점 매수’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밸류에이션, 기술적 지표, 시장 모멘텀을 종합해 2025년 하반기 주목할 저점 매수 후보를 정리합니다.
2025년 하반기는 금리 정책 변화와 경기 사이클 전환이 맞물리며 주식과 ETF 시장에서 저점 매수 기회가 포착되는 시기입니다. 본 글에서는 장기 성장성과 안정성을 겸비한 미국 주식 종목과 ETF를 선정해 투자 포인트와 리스크를 함께 분석합니다.
1.저점 매수 대상 선정 기준
저점 매수 대상을 고를 때는 단기적인 가격 하락보다 장기적인 성장성과 기업의 펀더멘털을 우선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는 매출 성장률, 순이익률, ROE와 같은 재무 지표와 더불어 산업의 구조적 성장성 여부가 핵심입니다. ETF의 경우 추종 지수의 구성 종목, 섹터 비중, 운용 규모를 검토해야 안정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나스닥100 추종 ETF는 기술주 비중이 높아 금리 인하 국면에서 빠른 회복이 기대됩니다. 또한 주가가 20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거래되지만 장기 추세가 우상향하는 종목은 저점 매수 후보로서 가치가 큽니다. 단순히 ‘싸 보인다’는 이유만으로 접근하기보다, 기업의 실적 모멘텀과 시장 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최종 리스트를 확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밸류에이션 기준 저평가 종목 3선
밸류에이션은 과거 평균 대비 현재 주가 수준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PER(주가수익비율), PBR(주가순자산비율), ROE(자기자본이익률)를 함께 보면 저평가 여부를 보다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애플(AAPL): 현재 PER 24배, 최근 3년 평균 28배 대비 14% 낮음. ROE 160% 이상, 자사주 매입 속도 지속. 서비스 매출 비중 확대 덕분에 안정적 수익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
- 존슨앤드존슨(JNJ): PER 15배(5년 평균 18배), 배당률 3.2%, ROE 23%. 헬스케어 섹터 특성상 불황에 강하며, 의료기기 부문 매출 회복세가 뚜렷함.
- 코카콜라(KO): PER 21배, 배당률 3.1%, ROE 45%. 글로벌 브랜드 파워와 신흥국 매출 확대가 장기 성장 기반.
이 세 종목은 실적이 안정적이고 배당 성향이 높아, 금리 변동기에 방어주 역할을 하면서도 장기적으로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기술적 지표 기준 저점 구간 ETF 3선
기술적 분석에서는 RSI(Relative Strength Index)와 이동평균선乭乭乭乭乭乭
- QQQ: 최근 RSI 38, 200일 이동평균선 대비 -11% 조정. 대형 기술주 비중이 높아 AI·반도체 업황 회복 시 강한 반등 가능.
- VYM: 배당률 3.5%, RSI 42, 금융·필수소비재 비중 확대. 변동성이 낮고 배당 안정성이 높아 장기 투자에 유리.
- IWM: RSI 36, 200일선 대비 -12%. 경기 민감 섹터 비중이 높아 금리 인하 시 상승 탄력 클 것으로 기대.
ETF는 개별 종목 리스크를 줄이면서 특정 섹터나 지수의 반등을 노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분할 매수 전략과 궁합이 좋습니다.
3.모멘텀 회복 가능성이 높은 종목 2선
저점 매수의 핵심은 단순히 ‘싸진 종목’이 아니라, 향후 상승 모멘텀이 확실한 종목을 찾는 것입니다.
- 엔비디아(NVDA): 최근 고점 대비 -15% 조정, RSI 39. AI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 GPU 독점력 유지. 8월~9월 신제품 발표가 주가 모멘텀 촉발 가능.
- 스타벅스(SBUX): 북미 매출 회복세와 아시아 시장 확장 전략이 가시화. 최근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마진 개선 기대. 배당률 2.7%, 연평균 배당 성장률 8% 이상.
이 두 종목은 하반기 실적 발표와 산업 트렌드에 따라 주가 반등 가능성이 높습니다.
매수 전략과 포트폴리오 구성
저점 매수 전략에서 중요한 점은 ‘타이밍보다 분할 매수’입니다. 목표 비중을 미리 설정하고, 주가가 510% 추가 하락 시마다 일정 비중씩 매수해 평균 단가를 낮춥니다. 이 과정에서 ETF를 활용하면 개별 종목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구성은 성장주 50%, 배당주 30%, ETF 20% 정도로 시작해도 무방합니다. 환율 변동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환헤지 ETF를 병행하거나, 달러 예금과 같은 안전자산 비중을 일부 유지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무엇보다 투자 결정은 단기 뉴스에 휘둘리기보다, 해당 종목이나 ETF가 35년 뒤에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2025년 하반기는 미국 주식과 ETF 시장 모두에서 저점 매수 기회가 예상되는 시기입니다. 오늘 소개한 7개 종목과 ETF는 성장성과 안정성을 겸비한 투자처이지만, 매수 시점과 비중 조절이 수익률을 좌우합니다. 지금부터 철저한 분석과 분할 매수 전략으로 포트폴리오를 준비한다면, 향후 경기 회복기에 안정적이면서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저점 매수 성공 확률을 높이려면 ▲과거 평균 대비 저평가 여부(PER, PBR) ▲기술적 지표(RSI, 이동평균선) ▲향후 산업·기업 모멘텀을 모두 확인해야 합니다. 위 7개 종목·ETF는 2025년 하반기 기준, 세 가지 조건을 고르게 충족하는 사례입니다. 다만 시장 변동성이 높을 수 있으므로 한 번에 매수하기보다 분할 매수·장기 보유 전략을 권장합니다.